=메소드 정의하기(처음엔 외우는 수밖에 없다.) //접근자 반환형 함수명( [받는 인자들]: 인자는 0개 이상, 생략 가능한 인자는 []로 묶음 ) { 받은 인자 처리; return 반환값; ---> 생략 가능(반환값이 없는 함수도 있기 때문 ex.void) }// -> 함수영역(메소드 영역) 규칙1. 함수는 정의만으로 실행되지 않고, 호출(call)할 때 실행된다. 규칙2. 함수(메소드)는 call할 때마다 실행된다(가장 작은 단위의 재활용). 규칙3. 호출하는 쪽 인자는 실인자, 호출받는 쪽 인자는 가인자(실인자를 받음) 실인자와 가인자는 데이터 형이 일치해야 한다. 규칙4. 반환형과 반환값은 데이터 형이 일치한다. 규칙5. 함수는 실행될 때 stack영역을 사용한다. 규칙6. 리턴(반환)이 없는 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