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.03 ~ 20.08 국비교육 83

클래스 구조

1) 자바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 2) 클래스 이름과 저장되는 파일명(저장 소스명)이 같다. 3) 하나의 소스(패키지)에 여러 개의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다. 4) 여러 개의 클래스 중 public 클래스의 이름으로 저장한다. 5) 컴파일하면 클래스파일은 각각 생성된다. 6) public 클래스 안에 main(실행) 함수를 정의해야 한다. 7)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main함수 내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. ★클래스명 객체변수명 = new 생성자()★ A.class: 클래스파일 ---실행---> OS/JVM/A실행 문자코드 ------------> 바이트코드 ----------> 가상머신(JVM) 필요 ★public★ A Class{ } ------------> public은 얘만 붙일 수 있다. 동일한..

배열

"동일한" 크기의 메모리 공간이 연속 ex. int a 같은 변수 여러 개를 만들어라 객체변수로 생각해도 무방하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★ 똑같은 사이즈의 변수가 반복되면 배열 다른 데이터 타입이 섞여 있으면 인스턴스 -------------------------★ [ ] :배열첨자 int [여기 있어도 됨] a [ ] = new int[3] 변수 선언 데이터 할당 4바이트짜리 데이터(int) 3개를 할당한다 = heap영역(인스턴스 들어가는 자리)에 총 12바이트를 할당한다. new: 힙 영역에 메모리 할당 -> 4바이트짜리(int) 여러 개가 있고, 그 데이터 묶음 장소의 이름을 a라고 한다 . -> a[0], a[1], a[2] 처럼 소속된 변수 뒤에 번지수 부여한다(0부터..

7. 제어문 - 반복문(while문, for문)

(1) while (조건 (2)) { (3) 반복할 실행문; (3) } ->실행문이 한 줄이라면 중괄호 생략 가능 1) 초기값 2) 범위 조건식 3) 중감치(실행 전 증감할 건지, 실행 후 증감할 건지) ex. //1에서 5까지 5번 반복하는 반복문을 만드시오 //1) 초기값: int = 0 //2) 범위 조건식 i Colored by Color Scripter for ( (1) ; (2) ; (3) ) { 반복할 실행문; } ***주의: 동작 순서에 주의, 후치증가밖에 안 됨 1 -> 2 -> 실행 -> 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ublic class Fo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for(i = 1; i C..

6. 제어문 - 조건문(if문, switch문)

1) if (조건식) 실행문1; 실행문2; -조건식이 참이면 실행문1, 2 둘 다 실행된다. -> 실행문1은 조건식이 참이니까, 조건문 2는 그냥 실행문이니까 실행되는 것 -if는 바로 뒤의 명령 ★하나만★ 실행한다. -조건식이 거짓이면 실행문 2만 실행된다. -if의 영향권은 실행문1까지만이다. -중괄호 없는 실행문 주의하기★ 1 2 3 4 5 6 7 8 9 10 11 12 public class If3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k = 100; if(k == 100) System.out.println("k는 100입니다."); else 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"); System.out.println("k는..

5. 연산자

+ - * / % ★암기: 자바에서는 정수/정수 = 정수, 실수/정수 = 실수(큰 쪽으로 움직이니까) a += b == a = a + b ++ ,-- : 1만큼 증가, 감소하라 앞(전치, 전위 연산자)이냐 뒤(후치, 후위 연산자)냐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짐 -> 후치연산자는 대입연산자보다 우선순위 낮음 10진수 -> 2진수 a = 2; ->10 b = 5; ->101 1) a & b: 둘다 참(1)일 때 참 = 0 2) a | b: 둘 중 하나만 참(1)이면 참 = 7 3) a ^ b: XOR, 배타적 합, 서로 다를 때 참(머신러닝할 때 나옴) a 1000 = 8 a >> b: 0 남는 값 없음 a = ( 조건: t/f )? 값1(참) : 값2(거짓); 제어문이 아닌 연산자를 이용해 참거짓 '간단'하게..